실제 프로젝트에 활용해본 구글 AI 스튜디오의 가능성 그리고...
최근 다양한 인공지능 툴이 쏟아지듯 나오고 있지만, 정작 실무에 딱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툴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특히 디자이너나 기획자 입장에서, 기획서를 넘어서 실제로 손에 잡히는 ‘화면’을 구현해보고 싶을 때가 많은데요.
이번에 제가 진행하고 있는 모그룹사 홈페이지 리뉴얼 프로젝트에 구글 AI Studio를 도입하여, UI 프로토타이핑을 구현해봤습니다.
실제 직접 사용해보면서, 어느정도까지 실제적으로 도입하고, 사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첫번째 리뷰를 쓰게 되었습다.
이 글에서는 단순한 툴 소개가 아니라, 실제 프로젝트에서 구글 AI 스튜디오를 활용한 경험을 중심으로 기능, 장점, 아쉬운 점까지 총망라해 리뷰해보려 합니다. "AI 툴, 말만 많지 진짜 써먹을 수 있어?" 라는 생각이 드는 분이라면, 이번 글이 현실적인 힌트를 줄 수 있을 거예요.
이전까지는 '기획 = 기획서, 프로토타입 = 디자이너의 몫'이라는 구분이 명확했는데, 이제는 상황이 바뀌고 있습니다. 텍스트 입력만으로도 UI를 생성해주는 툴들이 등장하면서, 이제는 기획자도 직접 프로토타이핑을 손에 넣을 수 있게 된 거죠. 이번 글에서는 실제 프로젝트 문서 기반으로 화면을 제작하고, 그걸 팀 내부 리뷰용으로까지 사용해본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기획자의 입장에서 '코드 한 줄 없이 화면을 만든다'는 건 어떤 경험일까요?
구글 AI 스튜디오가 제공하는 기능은 어디까지 가능하고, 실제 작업에서 어떤 한계가 있었는지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1. 구글 AI 스튜디오란? 간단하게 정리해보자면
구글 AI 스튜디오는 구글이 최근 출시한 생성형 AI 기반 툴로,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다양한 작업 결과물을 생성해주는 플랫폼입니다. 챗봇부터 이미지, 코드까지 다양한 형식의 출력이 가능하며, 이번 리뷰에서는 실제 홈페이지 리뉴얼 프로젝트용 UI 프로토타입 생성 기능에 집중하여 실제 프로젝트 도입전 PM으로서 도입을 검토해봤습니다.
첫번째 장점은 기존의 Figma, XD와는 다르게 코딩 지식 없이도 Front-End 및 실제 구동가능한 UI 프로토타입이 생성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단순 HTML, CSS3를 이용한 구성이라면 수십초안에 정리가 될 수 있었으며, 1차 테스트로 제작한 HTML/CSS3만으로 만든 샘플 메인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2. 실제 사용 환경, 이렇게 활용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모 그룹사의 대표 홈페이지 및 내부 계열사를 포함한 브랜딩 및 소통채널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임으로, 실제 UX 기획자, GUI 디자이너, 스크립터 등 Front-End에만 해도 4~5명이 투입되는 규모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현재 구글 AI Studio를 이용해서 아래 Tech Stack을 적용을 위한 프롬프트 제작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AI Studio가 개발한 프로토타입 코드 -src/components/Header.jsx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체 코드 중 일부만 발췌)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ThemeToggle from './ThemeToggle'; import { Bars3Icon, XMarkIcon } from '@heroicons/react/24/outline'; const Header = () => { const [isMenuOpen, setIsMenuOpen] = useState(false); const menuItems = ['회사소개', '사업영역', '제품 및 서비스', '뉴스룸', 'IR', '인재채용', 'Contact']; return ( <header className="fixed top-0 left-0 right-0 z-50 bg-white dark:bg-gray-900 shadow-md transition-colors duration-300"> <nav className="container mx-auto px-4 sm:px-6 lg:px-8"> <div className="flex justify-between items-center h-16"> {/* Logo */} <div className="flex-shrink-0"> <a href="/" className="text-2xl font-bold text-itcen-blue dark:text-itcen-blue-light"> 아이티센 글로벌 </a> </div> {/* Desktop Menu */} <div className="hidden md:flex md:items-center md:space-x-6"> {menuItems.map((item) => ( <a key={item} href="#" // Replace with actual links className="text-gray-700 dark:text-gray-300 hover:text-itcen-blue dark:hover:text-itcen-blue-light transition-colors duration-200 px-3 py-2 rounded-md text-sm font-medium" > {item} </a> ))} <ThemeToggle /> </div> {/* Mobile Menu Button & Theme Toggle */} <div className="flex items-center md:hidden"> <ThemeToggle /> <button onClick={() => setIsMenuOpen(!isMenuOpen)} className="ml-2 inline-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p-2 rounded-md text-gray-500 dark:text-gray-400 hover:text-gray-700 dark:hover:text-white hover:bg-gray-100 dark:hover:bg-gray-700 focus:outline-none focus:ring-2 focus:ring-inset focus:ring-itcen-blue" aria-controls="mobile-menu" aria-expanded={isMenuOpen} > <span className="sr-only">Open main menu</span> {isMenuOpen ? ( <XMarkIcon className="block h-6 w-6" aria-hidden="true" /> ) : ( <Bars3Icon className="block h-6 w-6" aria-hidden="true" /> )} </button> </div> </div> </nav> {/* Mobile Menu Panel */} <div className={`${isMenuOpen ? 'block' : 'hidden'} md:hidden border-t border-gray-200 dark:border-gray-700`} id="mobile-menu"> <div className="px-2 pt-2 pb-3 space-y-1 sm:px-3"> {menuItems.map((item) => ( <a key={item} href="#" // Replace with actual links className="text-gray-700 dark:text-gray-300 hover:bg-gray-50 dark:hover:bg-gray-800 hover:text-itcen-blue block px-3 py-2 rounded-md text-base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200" onClick={() => setIsMenuOpen(false)} // Close menu on click > {item} </a> ))} </div> </div> </header> ); }; export default Header; |
생성된 모든 코드들은 메인페이지에 들어가는 React/Tailwind기반으로 생성된 코드들이며, 이를 실제적으로 로컬환경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환경을 구현하여 확인을 해보면, 실제 프로토타입이 생성된 퀄리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로컬 또는 클라우드 기반의 실행환경을 구현하고, 진행한다면 (React/Tailwind 동작하도록 세팅) 보다 세련된 결과물을 통한 완성도 있는 "모그룹 홈페이지 프로토타입"이 완성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실행환경 구현 부분에서 시간이 걸리고 있으며, 개발자나 SE 도움을 받아야지만 가능한 부분들이 있습니다만, 단순 HTML/CSS3, JS 프레임워크가 돌아가는 실행환경을 구현할 경우, GUI적인 애니메이션, 효과, Dark Mode 등의 효과를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실행환경이 좀 시간이 걸리네요)
3. 장점: 속도와 직관성, 기획자에겐 혁명급
구글 AI Studio를 사용하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은 (PM역할로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내는 '속도'입니다. 프롬프트의 입력만으로 화면이 생성되기 때문에, 디자이너나 퍼블리셔의 투입이 없이 개발자와 함께 바로 실행환경 구축과 함께 프로토타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동 작업과 Git을 이용할 경우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개발환경, 기능테스트 등은 빨라 질 수 있고, 디자인 영역과 실제 퍼블리싱이 들어가는 영역에서 좋은 팀웍 기반으로 일할경우 결과물이 만족스럽게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프로토타입의 기반은 아래 삼성SDS 홈페이지의 GUI적 요소와 애니메이션, 디지털 이미지 등을 이용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고려했으며, 결과물은 프로토타입에 맞춰서 나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4. 한계 및 앞으로 더 알아가야 할 부분
구글 AI Studio는 개발자를 위한 Front-End Coding Tool입니다. 개발환경, 실행환경 등을 구현해 놓고 (로컬이든 클라우드 등) 개발자와 함께, 기획, PM, 디자이너, 퍼블리셔 등이 모두 모여서 1~2일 정도 또는 일주일 정도만 정리하면, 프로토타입이 완성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확실히 개발자의 도움이 없다면, 프로토타입 툴로는 한계가 있으며, 직관적인 형태의 결과물을 바로 얻을 수 없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하지만, 코드에 대한 기초를 잡고, 프로젝트를 완료해 가는데 있어서 좋은 툴임에는 분명할 것 같습니다.
현재 모그룹사 홈페이지 리뉴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기반환경 등을 고려하고 있는데, 외부 작업자, 내부 작업자 들간의 역할 구분이나, 다양한 협업툴을 이용한 개발 프로젝트에는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금씩 업데이트 되는 구글 AI Stuido의 발전 모습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5. 구글 AI 스튜디오, 궁금한 것들 정리해봤습니다.
- 초보자도 바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예'. 구글 AI 스튜디오는 별도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 가능하며, 코드 지식이 전혀 없어도 텍스트 입력만으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는 직관적인 구조입니다. 특히 Figma나 XD를 써본 적 없는 기획자, 마케터들에게도 추천할 만합니다.
- Figma나 XD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Figma는 디자인 중심 툴이고, 구글 AI 스튜디오는 생성형 AI 기반이기 때문에, 목적과 방식이 다릅니다. 전자는 디테일 작업에 강하고, 후자는 초안 제작과 아이디어 스케치에 더 적합합니다. 디자이너와 협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쓰기엔 구글 AI 스튜디오가 빠르고 편리합니다.
-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해도 될까요?
기본적인 레이아웃과 컴포넌트 구성이 가능하므로, MVP나 초기 제안용으로는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다만, 실제 서비스 개발 단계에서는 디테일 조정이 필요하므로, 디자인 툴과 병행 사용이 추천됩니다.
냥냥GPT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냥냥GPT 블로그는 GamsGo 파트너 활동 진행하고 있습니다.
|
'A-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인데스 보고서] LG 엑사원 3.5와 AI 인덱스 보고서 2025: 혁신을 이끄는 국내 AI 기술의 도약 (1) | 2025.04.09 |
---|---|
ChatGPT 유료버전 후기: 무료랑 이렇게까지 다르다고? (1) | 2025.04.03 |
a0.dev 사용 후기 및 리뷰! 프롬프트만으로 앱 개발 가능??? (0) | 2025.03.25 |
[공유서비스] ChatGPT 무료 사용법부터 GPT-4 가격까지! GamsGo로 할인 받고 사용하는 법!!! (2) | 2025.03.23 |
Same[.]dev - AI 기반 픽셀 퍼펙트 UI 복제 서비스 리뷰 (0) | 2025.03.14 |